[한국철학사] 균여, 의천, 지눌 | 고려시대 철학
균여, 의천, 지눌 | 고려시대 철학 고려시대 철학 고려시대 : 불교를 국가이념으로 채택삼국시대 : 불교, 도교, 유교의 삼교의 균형을 추구 [고려의 유학]- 광종 : 과거제- 성종 : 국자감정비, 유학자 최승로 중용 (시무 28조 : 불고 억제, 유학 진흥)- 문종 : 최충 (구재학당, 사학을 열음) 고려말 : 성리학 도입 (신진사대부의 사상적 기반 -> 조선으로의 전환) 균여(均如,923~973) | 노래로 전한 불법 일반 평민 출신, 광종시기 활동 → 교학의 융합을 시도 화엄사 중심의 남악 & 부석사(의상 화엄철학) 중심의 북악 → 화엄사상을 풀이, 교육 균여의 화엄사상 : 성상융회 (性相融會, 불교 교학 뿐 아니라 토착신앙까지도 융합 시도) → "보현십원가" 저술 '어렵게 불법을 공부하지 않아도 ..
더보기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새 글 쓰기 |
W
W
|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