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元曉)
| 파도와 고요한 바다는 둘이 아니다
인물정보 |
617~686, 불교철학자, 신라 귀족출신, 국내파 지식인
'금강삼매경론', '대승기신론소' 저술
- 금강삼매경론은 당대 베스트셀러가되어 전세계에서 필사본이 발견됨
이름의 뜻 : 첫새벽
당나라 유학 2회 시도, 모두 실패.
('일체유심조' 일화 (해골물 일화) : 당나라 유학길에 도중 깨달음을 얻어 돌아옴)
"삼국유사" 중 원효전에 기록된 원효의 기록
- 제목 : 원효불기
- 내용 : 불법의 제도를 깨고도(과부공주와 관계를 가져 아들 '설총'을 낳음) 그것에 구속되지 않는다
- 원효의 일생을 그린 일연의 찬
찬하여 말한다.
각승이 처음으로 삼매경을 열었으니
박 들고 춤추며 온갖 거리 깨우쳤네.
달 밝은 요석궁에 봄잠 깊더니
문 닫힌 분황사에 돌아본 자취만 쓸쓸하구나
- [삼국유사] 의해, '원효불기'
"불지(佛地)에서 태어나 절의 이름을 초개(初開)로 짓고, 본인의 이름을 첫새벽이란 뜻의 원효로 짓다"
- 새로운 불교 통찰의 장을 연 사람
별명 : 각승 : 원효가 금강상매경을 지으며 붓과 벼루를 소의 뿔의에 놓았다.
사상 |
화쟁(和諍) 사상 : 온갖 쟁론을 화해시키는 논리
- 삼국 이후 통일신라의 사상기반
- 분배, 경쟁, 노등의 비교, 우위 등을 넘어서는 상위 화합의 추구
"바람 때문에 고요한 바다에 파도가 일어나지만 파도와 고요한 바다는 둘이 아니다"
- 파도도 물이고 바다도 물이다, 둘이 다르지 않다.
물의 여러가지 응용형태로 다르게 인식되는 것일 뿐.
불교의 진여(범어로는 '타타타', 진실한 실상, 있는그대로의 모습)과
무명(범어로는 '아비드야', 명확히 알지 못하는 상태, 무식한 상태) 는
상반된것 같지만 둘이 아니라 하나.
"각자의 생각을 가지면서도 타협점을 모색, 두가지 상반된 입장을 넘어서는 논리" - 저자주석
<화쟁을 이루는 방법>
- 개합 : 상반되는 것도 한 방편으로 이해할 수 있다.
- 여탈 : 주는것이 빼앗는 것이고 빼앗는 것이 주는 것이다. (주다 여, 빼앗을 탈)
- 입파 : 자기가 세운 논리를 자기가 깨는 것이다.
<화쟁의 지향점>
- 환귀일심 : 하나가 되는것이 중요하다. (금강삼매경론의 본각에 해당)
- 만법귀일 : 만가지 다른 방법과 법칙이 있지만 뛰어넘어 하나가 된다.
------ 한국철학사 시리즈 목차로 돌아가기 ------
'심심이의 하루생각 > 지혜를 구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철학사] 균여, 의천, 지눌 | 고려시대 철학 (0) | 2016.08.15 |
---|---|
[한국철학사] 강수,설총,최치원 | 조강지처의 교훈과 화왕의 경계 (0) | 2016.07.25 |
[한국철학사] 삼국 시대 도교 전통 | 만족할 줄 알면 욕을 당하지 않는다 (0) | 2016.07.19 |
[한국철학사] 의상 | 하나가 곧 전체이고 전체가 곧 하나다 (0) | 2016.07.19 |
[한국철학사 시리즈 목차] 원효부터 장일순까지 한국 지성사의 거장들을 만나다 (0) | 2016.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