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 시대 도교 전통 ('도' by 노자)
| 만족할 줄 알면 욕을 당하지 않는다.
처세와 군사전략에 활용된 노자 사상 |
도덕경 제 44장 " 만족할 줄 알면 욕을 당하지 않는다"
- 백제장수 막고해, 고구려장수 을지문덕이 인용 (삼국유사, 삼국사기 기록)
다양한 노자의 사상을 이해하는 방식이 존재
- 무위(無爲)나 자연을 노래하며 현실과 거리를 두는 은둔적 삶 (일반적 이미지)
- 군사전략 및 처세술과 밀접 연결 : 중국 한나라 초기의 '황로도학' (黃老道學)
- 도덕경(道德經) 제 44장 전문 -
名與身孰親
이름과 몸 중 어느것이 더 가까운가
身與貨孰多
몸과 재물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
得與亡孰病
얻는 것과 잃는 것 중에 어느것이 더 괴로운가
是故甚愛必大費
이 때문에 몹시 아끼면 크게 허비하게 되고
多藏必厚亡
많이 간직하고 있으면 크게 망한다
知足不辱 知止不殆
만족할 줄 알면 욕되지 않고 그칠 줄 알면 위태롭지 않으니
可以長久
오래갈 수 있을 것이다
백제장군 막고해의 간언 |
삼국사기 24권 '백제본기' 중
근초고와의 아들 근구수왕은 고구려와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패주하는 군대를 쫒았다.
막고해의 간언을 듣고 멈추었다.
막고해 왈,
"만족 할 줄 알면 욕을 당하지 않고 그칠 줄을 알면 위태롭지 않다.(知足不辱 知止不殆)"
고구려 보장왕과 을지문덕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보장왕' 643년
"삼교(유교, 불교, 도교) 는 미유해 솥발과 같으니 하나라도 빠져서는 안된다"
라는 말을 듣고 당태종에게 외교문서를 보내 숙달(叔達) 등 여덟명과 노자 '도덕경'을 받았다.
왕이 기뻐하여 사찰을 빼앗아 이들을 묵게 하였다.
삼국사기의 저자는 김부식(불교), 도교의 유입을 비판적으로 기술
을지문덕: 수나라와의 살수대첩 초기에 적장에게 보내는 시 중,
"만족할 줄을 알아 그치기를 바라오"
신라 선덕대왕신종의 명문 |
성덕대왕신종 명문 (771년)
'무릇 지극한 도는 형상 밖의 것 (形象之外)을 포함하는데,
아무리 살펴도 그 근원을 볼 수 없다.
태음(太音)이 천지 사이에 진동하나,
아무리 해도 그 소리를 들을 수 없다'
보이는 것은 모두 보이지 않는것의 일부.
가장 큰 것은 보이지 않는다. 보이는 것의 근원은 보이지 않는다.
"장자" - 음악을 연주하면 도가 깨지고, 연주하지 않으면 도의 상태를 유지
태음희성(太音希聲)
큰 소리 이후 울리는 여운. 들리지는 않으나 실제로 소리가 없지 않은 상태
------ 한국철학사 시리즈 목차로 돌아가기 ------
'심심이의 하루생각 > 지혜를 구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철학사] 균여, 의천, 지눌 | 고려시대 철학 (0) | 2016.08.15 |
---|---|
[한국철학사] 강수,설총,최치원 | 조강지처의 교훈과 화왕의 경계 (0) | 2016.07.25 |
[한국철학사] 의상 | 하나가 곧 전체이고 전체가 곧 하나다 (0) | 2016.07.19 |
[한국철학사] 원효 | 파도와 고요한 바다는 둘이 아니다 (0) | 2016.07.08 |
[한국철학사 시리즈 목차] 원효부터 장일순까지 한국 지성사의 거장들을 만나다 (0) | 2016.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