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이의 하루생각/지혜를 구하다

[한국철학사] 강수,설총,최치원 | 조강지처의 교훈과 화왕의 경계



강수, 설총, 최치원


| 조강지처의 교훈과 화왕의 경계



 


 

  삼국시대의 유학 


삼국시대의 유학의 경우 백제, 고구려에 비해 신라의 기록들만 남아있다.


아무래도 신라계열의 유학자인 김부식이 '삼국사기'와 


마찬가지로 신라 계열의 승려인 일연이 '삼국유사'를 통해 전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소홀하다.


백제 왕인박사가 일본에 '논어'와 '천자문'을 전했다는 짤막한 기록마 존재.



삼국시대의 유학은 신라의 유학자들인 강수(强首,~692), 설총(薛聰,655~), 최치원(崔致遠,857~) 을 통해 알아본다.


 


  강수(强首,~692) 


이름 강수 : 머리가 튀어나온 사람 (공자도 머리가 튀어나온 사람이었다고 함)


→ 유교와 불교 중 유교를 선택


    "불교는 세상 밖의 가르침이라 합니다. 저는 인간세상의 사람 ~ " : 세외(世外) vs. 세간(世間)



→ 대장간 집 딸과 사랑


    "조강지처는 당(堂)에서 내려가게 해서는 안되고, 가난하고 미천할 때 사귄 친구는 잊어서는 안 된다"

     (조강지처 불하당 빈천지교 불가망; 糟糠之妻不下堂 貧賤之交不可忘)



→ 안빈낙도(安貧樂道)

    가난한 유학자 실천. 실제로는 덕망이 높아 녹봉을 넉넉히 받음. 타계 후 아내는 녹을 거부함.



  설총(薛聰,655~) 


원효의 아들로 승려. 유학의 종주(宗主)로 여기어짐. 유교경전을 최초 번역, 전수.


→ '화왕계'를 통해 신문왕에게 비유로써 완곡히 조언


    " 장미(여색) vs. 할미꽃(현자) : 둘다 선택은 불가능. 무릇 현자를 선택하여야 한다.


→ 유사글; '한서 [漢書]', 외척전의 한 노래


    북방에 아름다운 여인이 있으니

    세상에 다시없는 사람이라네.

    한 번 돌아보면 성이 무너지고

    두 번 돌아보면 나라가 기우네

    어찌 성과 나라가 기우는 줄 모르리오마는

    아름다운 여인은 다시 얻기 어렵기 때문이라네.





  최치원(崔致遠,857~) 


이름 치원(致遠)은 논어의 '자장'편에 나오는 말로, '원대한 포부를 이루다' 라는 뜻.


12살에 당나라 유학길에 올라. 한번에 급제하여 17년동안 당나라에서 벼슬을 함.


28세에 신라로 귀국하였으나 (당시 당나라도 신라도 국운이 쇠퇴), 신라 지식인들의 시기를 크게 받았고,


가야산으로 은거의 길로 나아가 말년의 기록이 없음.




→ 황소의 반란에서 '격황소서'로 글을 통해 반란군 토벌


     "온 천하 사람들이 드러내 놓고 너를 죽이려 할 뿐 아니라, 

      땅속의 귀신들까지도 몰래 죽일 것을 의논했을 것이다"




→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 은둔의 삶

    미친 듯 흐르는 물 첩첩산중을 울리니
    지척에서도 사람의 말을 분간할 수 없네.
    시비하는 소리가 귀에 닿을까 늘 두려워
    짐짓 흐르는 물로 온 산을 두르게 했네.


→ 입산시(入山詩)


    스님이시여, 산이 좋다고 말하지 마소.

    산이 좋다면, 무엇 때문에 산에서 나오십니까?

    시험 삼아 훗날 나의 종적을 살펴보시오.

    한 번 산에 들어가면 다시 나오지 않으리다.




------ 한국철학사 시리즈 목차로 돌아가기 ------